본문 바로가기
일본 여행

일본 홋카이도 흰수염폭포 리뷰 (가는법, 입장료 등)

by 여행하는 1인 개발자 2025. 3. 31.

흰수염폭포

북해도 흰수염폭포는 일본 홋카이도 비에이 지역 관광에서 빠질 수 없는 코스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흰수염폭포 소개와 가는 법, 입장료, 주변 정보 및 솔직한 리뷰를 해보겠습니다.

 

흰수염폭포
흰수염폭포

 

지난 포스팅에서 청의호수를 구경했던 저는 이제 다음 장소로 흰수염폭포로 향했습니다. 흰수염폭포는 특히 겨울에 멋지기로 유명한데요. 제가 마주한 흰수염폭포는 과연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지난 여행: 홋카이도 청의호수 둘러보기 (가는법, 입장료, 주차장 등)

 

 

 

이번 여행 목차

1. 흰수염폭포 소개

2. 흰수염폭포 가는 법

3. 흰수염폭포 입장료 (티켓 가격)

4. 흰수염폭포 둘러보기

5. 흰수염폭포 솔직 후기

 

 

 

 

 

 

1. 흰수염폭포 소개

 

일본 흰수염폭포는 홋카이도 시로가네 온천에 있는 폭포입니다. 높이 30m, 폭 40m 정도 규모의 작은 폭포인데요. 계곡 절벽의 바위 틈새에서 물이 흘러내리는 모습이 마치 하얀 수염처럼 보인다하여 흰수염 폭포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흰수염폭포는 일본어로는 시라히게노타키, 영어로는 Shirahige Falls입니다.

 

흰수염폭포 물이 파란 이유

흰수염폭포는 온천 지역에 있기 때문에 온천수가 흘러나옵니다. 이 온천수에는 수산화알루미늄 성분이 들어 있는데요. 그래서 흰수염폭포의 물은 푸른 빛을 띠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물은 근처의 청의 호수까지 흘러가서 청의 호수도 푸른 빛을 띠는 연못이 되었습니다.

 

흰수염폭포 주변 정보

흰수염폭포 주변에는 온천 시설들이 있어서 온천 이용이 가능하고 호텔 숙박도 가능합니다. 또한 흰수염폭포 주변에는 맛집, 카페, 아이스크림 가게, 옥수수 가게, 고구마 가게 등도 있어서 식사나 간식도 즐길 수 있습니다. 흰수염폭포는 화장실이 자체적으로 없습니다. 그래서 주변 호텔 화장실을 이용해야 하는데요. 이용 후기를 보면 딱히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 같습니다.

 

흰수염폭포
흰수염폭포

흰수염폭포 추천 시즌

흰수염폭포는 겨울에 가장 멋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뜨거운 온천수라서 겨울에도 얼지 않고 콸콸콸콸 흐르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아쉽지만 제가 갔을 때는 가을 시즌이었는데요. 가을에 가니까 저렇게 볼품 없는 모습을 하고 있어서 실망스러웠습니다. 흰수염폭포의 겨울 사진을 보면 위 사진과 다르게 아주 멋진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다음에 기회가 되면 겨울에도 가봐야겠습니다. 근데 겨울에 가면 단점이 있습니다. 바로, 청의 호수가 얼어버리고 눈으로 덮여서 못 본다는 점입니다. 이것 참 겨울에도 오고 여름에도 오라고 자연이 상술을 부리네요. 지역 경제에 이바지하는 놀라운 자연입니다!

 

2025년 2월 7일 흰수염폭포 사망 사고

올해 흰수염폭포에서 사고가 있었습니다. 추락사고였는데요. 관광객이 흰수염폭포 다리 아래로 추락하여 추락사하였다는 뉴스가 보도되었습니다. 20~30대로 보이는 아시아계 남자가 숨진 채로 발견되었고 근처에는 카메라 리모콘이 발견되었습니다. 실제로 흰수염 폭포에 가보면 모두가 다리에 기대서 사진을 찍고 있는데요. 좋은 추억을 남기는 것도 좋지만 항상 안전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2. 흰수염폭포 가는 법

흰수염폭포 가는 길
흰수염폭포 가는 길

홋카이도 흰수염폭포에 가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투어, 대중교통, 렌트카 이렇게 3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는데요. 그럼 각각의 방법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 봅시다.

 

① 투어

가장 맘 편하게 갈 수 있는 방법은 비에이 투어입니다. 저도 좀 상남자답지 못하게도 직접 안 가고 투어 상품을 이용해서 갔는데요. 흰수염폭포를 포함하여 5곳 내외의 관광지를 돕니다. 비에이 투어 비용은 대략 5~6만 원대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물론 더 비싼 투어도 있는데요. 저는 돈이 없어서 당연히 제일 싼 걸로 갔습니다 껄껄껄.

 

② 대중교통

흰수염폭포는 버스로 갈 수 있습니다. 비에이역에서 42번 또는 39번을 타면 되는데요. 버스로 대략 30분 정도 소요됩니다. 물론 삿포로에서 출발하면 기차를 두 번 타야 합니다. 대중교통으로 가면 총 요금은 약 6천엔 정도 든다고 합니다.

 

[삿포로역 - 아사히카와역]: 라일락 특급 약 1시간 25분

[아사히카와역 - 비에이역]: 후라노선 약 33분

[비에이역 - 흰수염폭포]: 42번/39번 버스 약 30분

 

③ 렌트카

삿포로에서 흰수염폭포까지 렌트카로 가면 거리는 148km이고 소요 시간은 약 3시간 정도 걸립니다. 일본에서 운전해본 분들은 다들 아실 텐데요. 차량 네비에 맵코드를 입력하면 쉽게 찾아갈 수 있습니다.

(*흰수염폭포 맵코드: 796 182 604)

 

흰수염폭포 주차장은 깜빡하고 사진으로는 못 찍었는데요. 주차 요금이 무료고, 조금만 걸어가면 흰수염 폭포에 도착합니다.

 

특히 렌트카 여행을 하는 분들은 비에이 백은장 온천도 많이 방문하는데요. 산중턱에 있는 노천탕으로 아주 유명하고 인기가 많다고 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백은장도 검색해 보시길 바랍니다. 흰수염폭포에서 백은장까지는 차로 약 12분 정도 소요되는데요. 겨울에는 길이 통제되기 때문에 돌아가야 해서 약 44분 정도 소요되니까 겨울과 나머지 계절을 구분하여 여행 계획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이러한 고급 정보는 제 블로그를 구독하셔야만 얻을 수 있습니다 껄껄껄.

 

 

 

3. 흰수염폭포 입장료 (티켓 가격)

흰수염 폭포 입장료
흰수염 폭포 입장료

흰수염 폭포는 따로 입장료가 없습니다. 사실 가보면 입장료를 받기엔 애매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흰수염폭포 입장료는 무료입니다!!!

 

어쨌든 공짜면 뭐든 좋아하는 저 같은 사람에게는 매우 기쁜 일이었습니다. 비에이투어의 대부분 관광지가 입장료가 무료였는데요. 그렇게 생각해 보면 5~6만 원이라는 투어비는 꽤 비싼 거 같기도? 가이드분들 알고 보니 돈 엄청 벌고 있을 지도?

 

 

 

 

 

 

4. 흰수염폭포 둘러보기

흰수염폭포
흰수염폭포

주차장에서 조금 걸어 올라가니 흰수염폭포를 볼 수 있었습니다. 솔직히 첫 소감은 대실망!이었습니다. 흑흑 겨울에 봤어야 해!

 

파란 물줄기
파란 물줄기

졸졸졸 시냇물처럼 볼품없는 물줄기가 아래로 흘러가고 있었습니다.

 

비에이 흰수염 폭포
비에이 흰수염 폭포

사진으로 봤던 장엄한 흰수염폭포의 모습은 온데간데 없고 일본의 소박한 기념품들처럼 소박한 폭포의 모습만 볼 수 있었습니다.

 

흰수염폭포 가을
흰수염폭포 가을

흰수염 폭포는 역시 겨울에 와야 하는군요. 겨울에 와본 적은 없지만 그래도 겨울이 훨씬 나을 거라는 건 느낌으로 알 수 있었습니다.

 

흰수염폭포 다리
흰수염폭포 다리

흰수염폭포는 다리 위에서 폭포를 내려다보는 방식으로 구경합니다. 올해 2월에 여기서 추락사 사고가 있었죠. 난간이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사진 찍을 때 조심해야 합니다.

 

흰수염폭포 다리 인파
흰수염폭포 다리 인파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다리 난간에 기대서 사진을 찍고 있는데요. 항상 안전에 주의를 기울이시길 바랍니다.

 

추락 조심
추락 조심

저는 혼자 가서 혼자 그냥 기대서 셀카를 몇 방 찍어보면서 혼자 놀았습니다.

 

흰수염폭포 풍경
흰수염폭포 풍경

아무튼 그렇게 실망스러웠던 흰수염 폭포를 뒤로하고 이제 다음 관광지로 떠나게 되었습니다.

 

 

 

 

 

 

5. 흰수염폭포 솔직 후기

흰수염폭포 리뷰
흰수염폭포 리뷰

마지막으로 솔직한 흰수염폭포 리뷰를 해보겠습니다. 뭐 지금까지 내용을 보셔서 이미 아실텐데요. 가을에 본 흰수염 폭포는 대실망이었습니다. 봄이나 여름도 마찬가지겠지요. 흰수염폭포는 무조건 겨울입니다. 근데 겨울에 가면 청의 호수를 못 봅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삿포로 여행은 여름에 한 번, 겨울에 한 번은 가야겠네요. 자연이 이렇게 도와주다니! 참 운이 좋은 일본 관광청입니다 하하하.

 

(후기는 지극히 주관적입니다.)

 

 

 

 

 

지금까지 일본 홋카이도 여행 비에이 투어 흰수염폭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비에이역으로 떠나봅시다. 그럼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