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47 주식 옵션만기일 주가 변동: 미리 대응하고 알아두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옵션만기일에 대해 알아봅시다. 옵션만기일? 선물만기일? 선물옵션만기일?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르신다면 이 포스팅을 정독하셔야 합니다. 1. 선물 거래? 옵션 거래? 만기일? 주식 시장의 기본 파생상품은 선물, 옵션, 스왑 3가지가 있습니다. 도대체 선물 거래는 무엇이고, 옵션거래는 무엇일까요? 먼저 아주 간단하게 정리해봅시다. 선물: 특정한 미래의 시점에 현재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물건을 사고 팔 권리를 미리 계약하는 것입니다. 옵션: 선물과 같은 특징을 가지지만, 옵션은 미래의 거래에 있어서 옵션 매수자는 권리를 포기할 수 있는데 반해, 선물은 무조건 의무가 부여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참고로 이 때 살 수 있는 권리를 콜옵션, 팔 수 있는 권리를 풋옵션이라고 부릅니다... 2021. 1. 14. [안드로이드 웹뷰] WebView 하얀화면 아무것도 안 뜨는 현상 해결 Android 개발 Tip. - WebView 하얀 화면, 아무 것도 안 뜨는 현상 해결 http:// 주소 접속시 연결이 안 되는 현상 해결 SSL 인증 무시하기 웹뷰를 개발하다보면 주소가 정확함에도 불구하고 화면 로드가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원인은 다양하다고 알고 있는데 그 중 한 가지 해결책으로는 SSL 인증을 무시하는 방법이 있다. 물론 이 방법은 여러 원인의 해결책 중 한 가지에 불과하기 때문에 일단 시도해보고 안 되면 또 다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근데 그런거 무시하면 안 되는 거 아니에요? 나도 찾아보니까 괜찮다고 한다. 일단 SSL 인증서가 무엇일까? SSL 인증서란? 디지털 인증서라고도 하는 SSL(보안 소켓 계층) 인증서는 브라우저 또는 사용자의 컴퓨터와 서버 또는 웹사이트 간.. 2021. 1. 13. ETF 투자 하는 방법: 기초 ~ 노하우 쉽게 정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ETF 투자입니다. 특히 주식을 처음하시는 분들은 KODEX200, TIGER200, KBSTAR200 ... 이런 것들에 궁금증이 생긴 적이 있을 겁니다. 많은 주식 투자자들, 특히 초보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투자에 관심이 많습니다. 이번에 알아볼 ETF 투자는 기존 일반 주식투자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이라고 평가받는 상품인데요. ETF 투자가 무엇인지 제대로 이해하고 현명하게 투자한다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그럼 ETF 투자에 대해서 쉽게 알아봅시다. 1. ETF 투자란? 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상장지수펀드'라고 하는데요. 쉽게 말하면, 주식처럼 거래소에 상장되어 직접 거래할 수 있는 펀드 상품입니다. 주식과 .. 2021. 1. 12. 주식 배당금 확인 방법 쉽게 정리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Dart)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알아볼 내용은 주식 배당금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내가 투자하는 기업이 배당금을 지금하는 기업인지 확인하는 방법? 배당금은 얼마나 나오는지 확인하는 방법? 배당금은 언제 지급하는지 확인하는 방법? 배당기준일은 언제인지 확인하는 방법? 주식을 처음하는 초보 투자자분들께서는 해당 내용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간단하기 때문에 알기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DART) 접속 기업 주식 배당금을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첫 번째는 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Dart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것입니다. 주식시장에 상장된 어느 기업이든 금융감독원에서 공시 문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dart.fss.or.kr/ 전자공시시스템 - 대한민.. 2021. 1. 11. 주식 거래 비용이 든다고? 매매 수수료, 세금 총 정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 매매 비용에 대해 총 정리해보겠습니다. 주식을 사고 팔 때는 반드시 비용이 발생합니다. 보통 초보 투자자는 이 부분에 대해서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래서 왜 내 원금이 그대로 보전이 안 되는지 의아해하기도 합니다. 세상에 공짜는 없는 법이죠. 그럼 주식을 거래할 때 도대체 어떤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지 자세히 알아봅시다. 주식 거래 비용, 즉 주식 매매 비용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1. 위탁수수료 2. 유관기관수수료 3. 증권거래세 주식을 살 때(매수): 위탁수수료 + 유관기관수수료 주식을 팔 때(매도): 위탁수수료 + 유관기관수수료 + 증권거래세 살 때보다 팔 때 돈이 더 많이 나간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그럼 각각의 비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위탁수수료 .. 2021. 1. 8. 주식 수수료 증권사 비교 +세금: 한번에 정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 거래 수수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초보자라면 알아야 할 것들이 참 너무나도 많은데요. 그 중 필요한 지식 하나가 바로 주식수수료입니다. 주식을 사거나 팔 때는 반드시 비용이 발생합니다. 이 비용을 주식매매비용이라고 하는데요. 주식매매비용은 크게 보면 3가지입니다. 1. 증권거래세 2. 유관기관 수수료 3. 위탁거래 수수료 매수(살때): 2+3 매도(팔때): 1+2+3 - 증권거래세는 주식을 팔 때 정부에 내는 세금으로 주식 판매액의 0.25%입니다. - 유관기관 수수료는 한국거래소(KRX), 한국예탁결제원에 내는 수수료로, 증권사마다 다르며 보통 0.004~5%입니다. - 위탁거래 수수료는 내가 증권사를 통해 주식을 매매할 때마다 내는 수수료입니다. 아래에서 .. 2021. 1. 7. 주식 매도 후 입금 시간 +즉시 인출 방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 매도 후 입금 시간 및 주식 수익금을 인출하는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1. 주식 매도금 인출 가능 일 이미 주식을 해보신 분들은 누구나 알고 계시듯이, 주식을 매도하면 바로 통장에 돈이 들어오는 게 아닙니다. 국내 주식시장은 2영업일 거래시스템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흔히 D+2라고 하죠. 쉽게 말하면 이틀 후에 돈을 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2영업일 후라고 할 수 있고요. 예를 들어 만약 고객(투자자)이 금요일에 매도를 하게 되면, 인출 가능한 날은 다음 주 화요일이 됩니다. 토/일요일 주말 및 공휴일은 영업일이 아니기 때문이죠. 물론 인출까지 이렇게 시간이 걸리는 것일뿐, 당연히 매도한 돈으로 또 매수하고 매도하고 매매 거래는 가능합니다. 2... 2021. 1. 6. 주식 배당금 받는 법, 기준일: 삼성전자 예시로 쉽게 정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배당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서 알아볼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배당금 - 배당기준일 - 배당락일 주식을 해보면 모든 기업은 아니지만 배당금을 지급하는 기업이 있습니다. 주식으로 인한 수익도 올리고 용돈처럼 배당금도 지급받고 1석2조라 할 수 있죠. 작년 2020년에는 특히 많은 개미투자자들이 삼성전자에 몰렸는데,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는 배당금을 지급하는 대표적인 종목입니다. (참고로 '우'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는 대신 배당금을 좀 더 많이 주는 주식을 말합니다. 다만 거래량이 일반주보다 적다는 점이 있죠.) 그럼 배당금은 어떻게 받는 걸까요? 주식은 1년이든 1달이든 1주일이든 배당락일 전까지만 매수해서 가지고 있으면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주식을 보유.. 2021. 1. 6.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56 다음